이도형별 스토리
부동산 경기 침체가 계속되면서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부실에 따른 금융권 충격 우려가 가시지 않고 있다. 제2금융권이 부동산 PF 부실의 연쇄효과에 직면할 것이라는 경고가 이어진다. 특히 최근 들어 지방 공사현장, 브리지론을 중심으로 손실 우려가 커진다. 정부는 손실 우려가 있는 일부 사업장에 대한 집중 관리에 나섰다.
5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한국신용평가는 최근 보고서에서 “지방을 중심으로 브리지론의 기한이익상실(EOD·만기 전 회수)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며 “2022년 하반기 만기도래 브리지론의 상당 규모가 본PF 전환에 성공하지 못해 브리지론 차환 부담이 앞으로도 지속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브리지론이란 토지 매입 등 초기 사업비 명목으로 대출하는 자금으로 본PF 전에 시행된다.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로 대출이 이뤄지는데, 지난해 하반기부터 부동산 경기 악화로 착공이 이뤄지지 않다 보니 본PF로 전환되지 않고 있다. 이로 인해 브리지론을 실행한 제2금융권의 부담이 커지고 있다. 2023년까지 만기도래하는 부동산PF 금액 약 14조원 중 58.4%가 브리지론이다.
대한건설정책연구원도 최근 보고서에서 “미분양 우려로 수백억원 손실을 감수하고 시공권을 포기하는 사태가 발생하는 등 지방을 중심으로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며 “브리지론을 많이 취급하고 있는 증권사, 여전사, 저축은행, 상호금융 등은 위험에 크게 노출될 가능성이 상당하다”고 지적했다.
한신평은 지난해 9월 말 기준 저축은행이 취급한 브리지론 747개 사업장과 본PF 856개 사업장을 분석했다. 브리지론의 경우 25%, 본PF는 15%가 1회 이상 연기됐으며 만기가 미도래한 사업장 중에서도 브리지론 사업장 28%, 본PF 사업장 16%가 올해 말까지 만기가 2회 이상 도래할 것으로 분석됐다. 부동산 경기 악화가 계속되는 상황에서 대출 만기가 돌아오게 되면 이자비용은 늘어날 수밖에 없다. 제2금융권이 버티기 어려워질 수 있다. 특히 브리지론의 만기 연장이 많이 이뤄진 대상은 지방 아파트로 이 가운데 34%는 1회 이상, 13%는 2회 이상 만기가 연장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일부 사업장에 대한 세밀한 관리에 나섰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이날 중소기업벤처부와의 업무협약식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300∼500개 사업장을 중요 관리 사업장으로 보고 세밀하게 챙겨보고 있다”며 “거듭 말씀드리지만 적절한 형태의 가격 조정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기존 분양가격을 고집하지 말라고 건설사들을 압박한 것으로 풀이된다.